본문 바로가기
건강히살자

아이(아기)에게 아이스크림 먹여도 될까? 건강에 해롭기만 할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3가지

by 스백이 2025. 6. 22.
반응형

아이(아기)에게 아이스크림 먹여도 될까?
건강에 해롭기만 할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3가지

여름만 되면 고민이 시작됩니다.
"우리 애가 아이스크림을 너무 좋아하는데… 먹여도 될까?"

주변에서는
“애한테 당 떨어져서 큰일 나”,
“아직 어려서 안 돼”,
“감기 걸려”라는 말이 넘쳐나죠.
하지만 무조건 나쁘다고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언제부터, 얼마나, 어떻게’ 먹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니까요.


1. 아기에게도 ‘조금은 괜찮다’

생후 12~18개월 이후, 아주 소량이라면 문제 없어요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돌 이후부터 유제품과 당류를 제한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아이스크림은 우유, 설탕, 크림 등으로 만들어진 가공식품이긴 하지만,
알레르기만 없다면 한두 숟가락 정도 맛보는 건 괜찮습니다.

특히 요즘은 유아 전용 아이스크림도 따로 나오기 때문에
너무 달지 않고 자극적이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면 안심하고 먹일 수 있어요.

반응형

2. 무조건 금지보다 ‘균형 잡힌 식습관’이 더 중요해요

오히려 지나치게 금지하면 아이가 몰래 먹고 싶어 하거나,
더 집착할 수 있어요.

완전 금지보다,
엄마 아빠가 양과 빈도를 정해주는 게 더 건강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식사 잘했을 때 보상으로
더운 날 외출 후 시원하게 한 입
한 통을 다 먹는 게 아니라,
한두 숟가락 정도만 나눠주는 방식으로요.

‘맛있는 걸 배제’하는 게 아니라
‘조절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게 핵심입니다.



3. 아이스크림도 소중한 ‘정서적 경험’이 될 수 있어요

아이스크림은 단지 당분 덩어리만은 아니에요.
엄마, 아빠와 함께 나눠먹는 즐거운 추억,
시원하고 달콤한 여름날의 기억이 될 수 있거든요.

아이에게 중요한 건
- 무조건 건강한 음식만 먹는 것이 아니라
- 음식을 통해 정서적으로 따뜻한 기억을 남기는 것도 포함됩니다.

가끔은 아이의 작은 기쁨을 허락해주는 것이
오히려 아이의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걱정도 중요하지만, 기준을 세우고, 조절하면서 먹이면 아이스크림도 괜찮습니다.
너무 두려워하지 마세요. 정답은 ‘완전 금지’가 아니라 ‘현명한 허용’입니다.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