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이 밝았습니다.
2025년에 S/W 노임단가는 얼마일까요? 또 얼마나 늘었을까요?
여러분들 모두 옛날처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지 않는다는 것은 알고 계신가요?
아래 제가 2020년에 썼던 글을 첨부해 놓을께요!!
https://debtandshadow.tistory.com/138
오랜만에 단가를 갱신할 일이 있어서~
오늘 2025년 SW 노임단가표(등급별 → 직급별)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에 글을 쓸때
기존에 초급,중급,고급으로 나누던 단가가 직급별로 변했다고 언급했었습니다.
당연히 2025년인 지금도 초,중,그 등급별 단가는 없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초,중,고급으로 단가를 책정하시는 분들 많죠 ㅎㅎㅎ)
<본 평균임금을 SW사업대가 활용시 유의사항>
※ 본 조사결과는 SW사업에서 SW기술자 인건비 평균 값임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하며, 수·발주자간 자율적
협의에 의해서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음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소프트웨어진흥법 제46조(적정 대가 지급 등) 4항 ‘소프트웨어기술자의 인건비
기준’을 지칭함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기본급, 제수당, 상여금, 퇴직급여충당금, 법인부담금(4대보험)을 모두 포함한 결과임
* 일평균임금은 월평균임금÷`24년 평균근무일수(20.6일), 시간평균임금은 일평균임금÷8시간 으로 각각 산정함
* 월평균 근무일수는 휴일, 법정공휴일 등을 제외한 업체가 응답한 근무일의 평균이며, 이는 개인의 휴가 사용
여부와는 무관함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전년 대비 4.2% 증가함
* 25/75 백분위수는 조사된 직무별 임금의 구간, 분포에 대한 참고 값임(백분위수 : 백분위수는 크기가 있는
값들로 이뤄진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백분율로 나타낸 특정 위치의 값을 이르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여 가장 작은 것을 0, 가장 큰 것을 100으로 한다.)
2025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초, 중, 고급 체계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뉜 단가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발주처가 익숙한 방식으로 단가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죠ㅠㅠ
사업 규모에 따라 회사에 따라 직급에 따라서,
직무별 임금 체계를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만.
아직도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초, 중, 고급 기준 단가를 참고 자료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일하는 부문에서의 레인지로, 각 회사와 지역별로 다르다는것을 명심해주세요!!!)
초급 개발자: 약 400~600만 원
중급 개발자: 약 600~700만 원
고급 개발자: 약 700~900만 원
고급부터는 사실 레인지가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프리랜서 분들의경우 저기서 100만원정도 빼면 얼추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IT > IT회사 연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S/W 노임단가표(등급별 -> 직급별) 기획자 줄음 (0) | 2021.01.04 |
---|---|
전산직 공무원 연봉, 수당, 경력인정, 직장다니면서 준비 (0) | 2020.10.25 |
이글루 시큐리티 신입, 대리, 과장 연봉 및 인센티브 (0) | 2020.10.20 |
요즘 핫한 신세계 i&c(inc) 신입,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연봉 (0) | 2020.10.08 |
LG U+ LG 유플러스 신입, 대리, 과장 연봉: 현직자썰- 통신사2편 (0) | 20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