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전달

한국 주식으로 돈버는 비율???, 주식 존버 승리하지 못한 케이스 정리 - 주식으로 돈 버는 사람은 소수 존버의 함정, 데이터로 본 현실

by 스백이 2025. 3. 23.
반응형

“주식으로 돈 버는 사람은 소수? 존버의 함정, 데이터로 본 현실”

한국 주식으로 돈버는 비율과, 주식 존버 승리하지 못한 케이스도 싹다 정리해볼께요!!!

위 도표를 보면 감이 오시죠?
위 차트는 2023년 한국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파이차트입니다.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이런 믿음으로 ‘존버(존나 버틴다)’를 선택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2023년 한국 주식 시장 데이터를 보면, 대부분의 투자자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한국 주식 투자자들의 현실

수익 있는 투자자 비율: 28%
수익 없거나 손실 본 투자자: 72%
실제로는 상위 10% 투자자가 전체 수익의 대부분을 가져가는 구조

반응형

“주식은 기다리면 언젠가 오른다?”

10명 중 7명은 돈을 벌지 못하는 셈입니다.


‘존버’가 실패한 대표 사례

2차전지, 플랫폼, 바이오에 고점 물림 → 장기 보유 → 하락 지속
실적 없는 가치주라고 착각하고 오래 보유 → 결국 하락
정치/테마주 따라 샀다가 장기 하락
코스닥 고점에 들어간 후 3~4년간 반등 없이 횡보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종목들 중에 5년 장기보유 실패한 종목을 사진으로 보여드릴께요!!!
반짝 급등주, 정치테마주는 제외하고 정말 정상적이고, 건실한 회사들 중에
5년 보유 실패한 것만 정리해볼께요!!!(이건 그래도 10년가져가면 희망이 있어요)

※ 개인적으로 위 종목들도 언젠간 반등할거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중간에 주택을 구매한다던가,
큰돈 필요할때 뺄수밖에 없는 상황이 문제가 되는 것이죠!!!


왜 존버는 실패할까?

“시간이 해결해 준다”는 믿음은 잘못된 종목엔 통하지 않아요!!!
업종/실적/성장성 없는 종목은 아무리 오래 들고 있어도 오르지 않음

장기 보유도 진입 시점과 기업 분석이 필요함

‘진짜 장기투자’가 되려면

성장성과 실적이 뒷받침된 우량주를 선택해야 함
배당금, 자사주 소각, 기업가치 상승이 동반돼야 의미 있음


단순한 존버 ≠ 장기투자

‘존버’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성공하는 존버’는 쉽지 않습니다.
종목 선정 + 타이밍 + 분석이 함께 있어야만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무작정 기다리지 말고, 데이터를 근거로 현명한 투자 판단을 하세요!

장기 보유(존버)는 종목을 잘못 고르면 오히려 시간이 독이 됨
실적, 재무, 성장성 없는 종목은 5년 이상 들고 있어도 손실
단순히 ‘싸 보인다’는 이유로 존버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어요!!!

여러분 무조건 존버하지 마세요!!!
존버도 할만한 종목에 해야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